안녕하세요, 촌장입니다.
3월 3일부터 6일까지,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MWC 2025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MWC(Mobile World Congress)는 CES, IFA와 함께 세계 3대 IT 전시회 중 하나로, 특히 MWC는 모바일 및 통신 산업 등에 특화되어 있어서 산업과 기업 중심을 더 강조하는 행사이기도 합니다. 단순한 제품 전시를 넘어 5G·6G 네트워크, AI, IoT, 스마트 디바이스, 클라우드 기술 등 이동통신과 연결성을 중심으로 한 혁신을 가장 먼저 확인할 수 있는 자리이기도 하죠. 하지만 전시별 차이는 좁혀지고 있는 추세입니다. CES나 MWC 모두 AI와 같은 새로운 기술을 활용한 다양한 제품들과 기술들을 선보이는 행사로 비슷해지고 있기는 하죠.

올해도 2,700개 이상의 기업과 10만 명이 넘는 방문객이 참가하며 최신 기술과 산업의 흐름을 공유하고 있습니다. 특히 이번 MWC 2025는 Converge. Connect. Create.(융합하라, 연결하라, 창조하라)라는 테마를 중심으로 어떻게 기술이 융합되고, 연결되며, 새로운 가치를 창조할 수 있는지를 강조하고 있습니다. 특히 각 기업들이 AI와 네트워크 기술을 어떻게 결합해 차세대 혁신을 이끌어가는지가 관점 포인트이겠죠. 이번 MWC의 3 가지 주제별로 간단히 이번 전시회의 특징을 소개해 봅니다.

#Coverge 융합하라.
AI, 이제는 모든 것과 융합되는 시대
이번 MWC에서 가장 눈에 띄는 흐름은 AI가 단순한 보조 기술이 아니라, 이제는 모든 산업과 제품에 깊숙이 녹아들고 있다는 점입니다. 스마트폰부터 카메라, 네트워크, IoT까지 AI가 적용되지 않는 곳을 찾기 어려울 정도입니다.
하웨이의 독립한 기술그룹 아너(Honor)는 AI 에이전트 기술을 통해 UI/UX 혁신을 선보였습니다. 기존의 스마트폰 UI가 터치와 버튼 중심이었다면, AI가 화면을 분석하고 사용자의 의도를 파악해 자동으로 작업을 수행하는 방식으로 사용자와 소통하는 기술입니다. 캘린더에 식사 약속이 추가되면 AI가 알아서 레스토랑 제안을 해주고 예약까지 진행해주는 식이죠. 이와 함께, AI 기반 이미지 프로세싱 기술(AiMAGE)도 공개했는데, 사진 선명도를 50% 향상시키고 망원 이미지 품질을 획기적으로 개선한다고 합니다.

삼성전자도 AI에 집중한 갤럭시 S25 시리즈를 선보였습니다. AI가 글쓰기, 콘텐츠 검색, 개인화된 정보 제공 등 사용자 편의성을 강조하는 모든 부분에 융합되고 있습니다. 특히 사진 성능이 많이 개선되었는데, 피사체를 분석해 최적의 촬영 모드를 자동으로 추천하고, 영상 촬영 시 실시간 손떨림 보정도 AI가 지원해 줍니다. 단순히 해상도를 높이는 수준이 아니라, AI가 촬영 과정을 전반을 실시간으로 참여하고 보정하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죠.

#Connet 연결하라
6G와 위성통신, 초연결 시대를 향해
AI가 모든 걸 바꿔놓고 있다면, 이를 뒷받침하는 건 결국 네트워크 기술입니다. 이번 MWC에서는 6G와 위성통신 기술이 중요한 키워드로 소개되고 있습니다.
네트워크 분야에서는 이제 6G 연구가 본격화되고 있는 추세로 보입니다. KT는 위성통신과 양자암호통신, AI 네트워크를 6G 시대의 핵심 기술로 선보이고 있는데요. 한국 정부도 GSMA와 협력하며 6G 통신표준 개발에 더 큰 역할을 담당할 것으로 보입니다.
연결을 통해 새로운 비즈니스를 만들어 내는 기술인 IoT가 AI를 만나 더욱 확장되고 있습니다. 삼성전자는 스마트싱스(SmartThings) 플랫폼을 더욱 발전시켜, AI가 사용자 생활 패턴을 분석하고 최적의 스마트홈 환경을 제공하는 기능을 공개했는데요. 가전제품과 IoT 기기들이 유기적으로 연결되면서, AI가 알아서 집 안 환경을 조정하는 방향으로 가고 있습니다. 가전시장을 장악하고 있는 기업의 입장에서는 새로운 서비스 확장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전망입니다. 사용자가 집에 도착하면 자동으로 조명을 조절하고, 냉장고의 남은 재료를 기반으로 저녁 메뉴를 추천하는 등 심리스한 사용자 경험이 지속되도록 AI가 서포트하는 방향으로 다양한 서비스들을 선보이고 있습니다.

#Create 창조하라
기술이 만들어가는 새로운 경험
기술의 발전이 성능의 개선으로 머물지 않고 완전히 새로운 방식의 사용자 경험을 만들어 내고 있습니다. 이번 MWC 2025에서 선보이는 수많은 기술들이 결국은 이전에 경험하지 못했던 사용자 경험과 만족을 통해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로 확대되어 가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도이치 텔레콤은 AI 기반 스마트폰을 공개했는데, 이 제품은 퍼플렉시티(Perplexity) 챗봇과 연동되어 사용자 질문에 답하고, 음성 명령으로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음성만으로 비행기 예약, 일정 관리, 이미지 편집이 가능한 서비스를 선보였습니다. 단순한 음성 비서가 아니라, AI가 전반적인 디지털 경험을 주도하는 방식으로 변화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기술이 고도화될수록 보안과 프라이버시 이슈도 중요해지고 있죠. KT는 양자암호통신을 활용해 보안을 한층 강화하는 방안을 발표했습니다. 기존의 암호화 방식보다 훨씬 안전하게 데이터를 보호할 수 있어, 앞으로 금융이나 공공 분야에서 적극적으로 활용될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이번 MWC 2025에서는 AI가 모든 분야에 융합되면서, 기술이 연결되고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흐름이 더욱 뚜렷하게 보여주고 있습니다. 스마트폰부터 네트워크, IoT, 그리고 스마트홈까지, AI가 중심이 되는 시대가 본격적으로 시작되고 있지 않나 생각이 듭니다.
이제는 단순한 기술 발전이 아니라, 어떻게 연결되고, 어떤 경험을 만들어낼 것인지가 더욱 중요해지는 시대가 되어 가고 있고, 이번 MWC 2025에서 이런 방향성을 더욱 확인할 수 있었던 것 같네요.
촌장 드림
'테크 엔돌핀 <수요레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결국 AGI 는 온다 (1) | 2025.03.29 |
---|---|
AI가 점점 두려워지는 이유 (0) | 2025.03.13 |
가정용 휴머노이드 로봇의 요즘 수준 (0) | 2025.02.26 |
AI가 운전하는 시대, 자동차의 정의가 바뀐다. (1) | 2025.02.19 |
지식 노동자의 종말! 오픈AI '딥 리서치'의 파괴력 (0) | 2025.0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