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크 엔돌핀 <수요레터>

가정용 휴머노이드 로봇의 요즘 수준

잇츠맨 2025. 2. 26. 20:17

안녕하세요, 촌장입니다.

 

AI가 모든 산업과 비즈니스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 있지만, 개인적으로 가장 주목하고 있는 분야 중 하나가 로봇입니다. 상대적으로 발전이 더뎠던 로봇 산업이 AI를 통해서 비로소 폭발적인 발전을 이뤄나가고 있습니다. 주목받는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사인 피겨(Figure)에서 최근 가정용 휴머노이드 로봇 ’헬릭스(Helix)’를 공개했습니다. 헬릭스의 외모는 기존의 피겨의 모델들과 비교했을 때 큰 차이가 느껴지지는 않습니다. BMW 공장라인에 투입되어 테스트되고 있는 모습 그대로 입니다만 전체적으로 깔끔한 디자인을 유지하고 있죠.

 

 

 

 

식료품들을 정리해줘

 

미션은 이렇습니다. 사람이 테이블 위에 식품 아이템들을 쏟아 냅니다. 그러고는 각 아이템들이 어디에 보관해야할 지 판단해서 정리하라고 요청합니다. 

두 대의 헬릭스 로봇이 자기 앞에 있는 실료품들을 보고 판단해서 냉장고, 쟁반, 서랍 등에 하나씩 정리하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아이템들을 시각적으로 분석해서 분류해 내고, 해당 식료품이 어디에 위치하는 것이 좋을 지 정확히 판단해 내고 있죠. 

 

 

 

 

자연스러운 협력 모드

 

개인적으로 가장 흥미로운 부분은 두 로봇이 협력하는 모습이었습니다. 둘이 서로를 쳐다보면서 필요한 작업들을 함께 해 나갑니다. 물건을 손으로 전달해 주기도 하고, 쟁반을 옆으로 밀면 거기에 사과를 올려놓는 동작을 보여줍니다. 서로 말을 하지는 않지만 눈으로 상대방 상황을 보면서 협력해 나가는 모습이 꽤나 인상적이었는데요. 가정에서는 사람과 함께 상호 소통하는 것이가장 중요한 과제이다 보니 이런 협력 모드가 반드시 필수적일 것입니다.  

 

 

 

훨씬 감성적인 로봇

 

가정용 로봇으로의 미션 수행 측면에서는 피겨사의 헬릭스가 인상적이었지만, 외모면에서는 1X에서 선보인 네오 감마(Neo Gamma)가 훨씬 돋보입니다. 짧은 YouTube 영상에서 네오 감마는 정말 사람같은 외모와 행동을 보여줍니다. 지금 당장 가정에 투입해도 전혀 이질감없는 모습을 보여주죠. 다만 아직은 완전한 자율 동작은 아닌 것 같고, 앞으로의 비젼을 보여주는 컨셉 영상으로 생각됩니다.

 

 

 

 

가정용 휴머노이드 로봇이 어려운 이유

 

하나, 사실 가정용 로봇을 개발하는 데에는 공장용 로봇과는 다른 여러 가지 어려움이 존재합니다. 공장용 로봇은 고정된 환경에서 반복적인 작업을 수행하도록 설계되어 비교적 예측 가능한 조건에서 운영됩니다. 반면, 가정 환경은 각 가정마다 구조와 배치가 다르고, 이동 경로에 예상치 못한 장애물이 나타날 수 있으며, 조명이나 소음 등 주변 환경도 지속적으로 변화합니다. 이러한 변동성은 로봇이 주변을 인식하고 적응하는 데 훨씬 더 어려운 과제가 되죠.

 

둘, 가정용 로봇은 다양한 형태와 크기의 물체를 다뤄야 합니다. 예를 들어, 부드러운 천부터 단단한 금속까지, 작은 열쇠에서 큰 상자까지 모두 안전하고 정확하게 조작해야 합니다. 이러한 다양성은 로봇의 물체 인식 기술이 높은 수준으로 발전해야함을 의미합니다. 공장용 로봇이 표준화된 부품을 다루는 것과는 대조적이죠.

 

셋, 사람과의 상호작용도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가정용 로봇은 가족 구성원과 원활하게 소통하고, 안전하게 협업해야 합니다. 공장용 로봇은 주로 다른 기계나 시스템과 인터페이스하므로 이러한 요구사항이 상대적으로 덜한 것에 비해서, 가정용 로봇은 인간의 언어를 이해하고, 감정과 의도를 파악하며, 예의 바르고 직관적인 행동을 취해해 하는 거죠. 

 

넷, 마지막으로, 비용과 내구성 측면에서도 차이가 있습니다. 공장용 로봇은 고가의 정밀 부품과 센서를 사용하며, 정기적인 유지보수가 가능합니다. 그러나 가정용 로봇은 소비자들이 감당할 수 있는 가격대에서 제공되어야 하며, 일상적인 사용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상황을 견딜 수 있는 내구성을 가져야 합니다. 이러한 요구사항을 모두 충족시키는 것은 가정용 로봇의 기술적, 경제적으로 큰 도전라고 볼 수 있겠죠.

 

아무튼 이러한 도전과제들을 극복하고 실제 우리 삶의 가장 가까운 곳에서 휴머노이드 로봇을 만날 수 있는 시간을 흥미롭게 기대하고 있습니다. 

 

 

촌장 드림

 

 

                                                                                                           이미지 출처 : Figure, 1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