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22

AI 슈퍼볼의 백미

안녕하세요, 촌장입니다. 지난 주 캘리포니아 산호세에서 NVIDIA의 AI 컨퍼런스인 GCT2025가 열렸습니다. NYT의 기자는 이번 행사를 ‘AI의 슈퍼볼’이라고 부르기도 했는데요. 그 만큼 전세계 AI 관련 기업과 담당자들에게 뜨거운 관심을 받은 행사였기 때문일 겁니다. NVIDIA의 위상은 한창 때의 애플을 보는 듯 합니다. 무려 25,000명이 이번 행사에 참관을 했구요. 뜨거운 행사 분위기 만큼이나 호텔 가격도 폭등해서 주변 시세가 하루에 1,800달러까지 오르기도 했다고 하네요.   기존 블랙웰의 판매가 계속해서 호조를 보이고 있고, 새로운 칩인 ‘루빈’을 2026년에 선보일 것으로 예고하기도 했죠. 루빈의 울트라 버젼은 블랙웰의 14배 성능을 보일 것으로 예측된다고 발표했죠. GPU 가속기..

결국 AGI 는 온다

우리는 준비되었는가? 안녕하세요, 촌장입니다.  AI가 이미 수학, 코딩, 의료 진단 등에서 인간을 앞지르기 시작했고, 매일 미친 듯이 더 발전하고 있습니다. 케빈 루스 기자는 뉴욕타임즈에 기고를 통해서 2026년이나 2027년에는 하나 이상의 AI 회사가 AGI(일반 인공지능)를 개발했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컬럼을 통해서 AGI에 대해 우리가 무엇을 놓치고 있는지 알아볼까 합니다. 먼저 AGI의 정의를 다시 풀어보죠. AGI(Artificial General Intelligence)는 일반적으로 “인간이 할 수 있는 거의 모든 인지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AI 시스템입니다. 특정 작업에 최적화된 기존 AI와 달리, AGI는 인간처럼 학습하고 적응하며, 창의적 문제 해결까지 할 수 있는 수준의 A..

AI가 점점 두려워지는 이유

정확 vs 진실 안녕하세요, 촌장입니다. 우리는 보통 이 두 가지를 하나의 개념으로 생각하기 쉽습니다. 더 정확한 정보는 진실에 가깝고, 진실은 정직과 관련성이 높다고 알고 있으니까요. 하지만 엄밀히 이 두 가지는 다른 개념입니다. 특히나 AI에 있어서 이 두 가지 개념이 갖는 의미는 더욱 중요해 지고 있습니다.  오늘은 인공지능(AI) 시스템의 ‘정직성’과 ‘정확성’을 구분하기 위한 새로운 벤치마크인 MASK(Model Alignment between Statements and Knowledge)에 대해 소개해 보려고 합니다. 최근 발표된 논문 ‘MASK 벤치마크 : AI 시스템에서 정직성과 정확성을 분리하다’ (The MASK Benchmark: Disentangling Honesty From Acc..

MWC 2025 세 가지 키워드

안녕하세요, 촌장입니다. 3월 3일부터 6일까지,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MWC 2025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MWC(Mobile World Congress)는 CES, IFA와 함께 세계 3대 IT 전시회 중 하나로, 특히 MWC는 모바일 및 통신 산업 등에 특화되어 있어서 산업과 기업 중심을 더 강조하는 행사이기도 합니다. 단순한 제품 전시를 넘어 5G·6G 네트워크, AI, IoT, 스마트 디바이스, 클라우드 기술 등 이동통신과 연결성을 중심으로 한 혁신을 가장 먼저 확인할 수 있는 자리이기도 하죠. 하지만 전시별 차이는 좁혀지고 있는 추세입니다. CES나 MWC 모두 AI와 같은 새로운 기술을 활용한 다양한 제품들과 기술들을 선보이는 행사로 비슷해지고 있기는 하죠.   올해도 2,700개 이상의 기..

가정용 휴머노이드 로봇의 요즘 수준

안녕하세요, 촌장입니다. AI가 모든 산업과 비즈니스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 있지만, 개인적으로 가장 주목하고 있는 분야 중 하나가 로봇입니다. 상대적으로 발전이 더뎠던 로봇 산업이 AI를 통해서 비로소 폭발적인 발전을 이뤄나가고 있습니다. 주목받는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사인 피겨(Figure)에서 최근 가정용 휴머노이드 로봇 ’헬릭스(Helix)’를 공개했습니다. 헬릭스의 외모는 기존의 피겨의 모델들과 비교했을 때 큰 차이가 느껴지지는 않습니다. BMW 공장라인에 투입되어 테스트되고 있는 모습 그대로 입니다만 전체적으로 깔끔한 디자인을 유지하고 있죠.    식료품들을 정리해줘 미션은 이렇습니다. 사람이 테이블 위에 식품 아이템들을 쏟아 냅니다. 그러고는 각 아이템들이 어디에 보관해야할 지 판단해서 정리하..

AI가 운전하는 시대, 자동차의 정의가 바뀐다.

안녕하세요, 촌장입니다. 운전석에 앉아 시동을 겁니다. 하지만 가속 페달을 밟을 필요도, 핸들을 조작할 필요도 없습니다. 자동차가 스스로 움직이기 때문이죠. 그뿐만이 아닙니다. 차량 내부는 단순한 이동 수단이 아니라, 하나의 거대한 스마트 디바이스입니다. 차량이 스스로 업그레이드되고, 새로운 기능이 추가됩니다. 차량은 단순한 이동수단에 벗어나 움직이는 사무실, 휴식 공간이 됩니다. 그리고 이 모든 변화의 중심에는 디지털 그리고 AI가 있습니다. 먼 얘기가 아닙니다. 이제 자동차는 더 이상 단순한 기계가 아니죠. ‘소프트웨어 정의 차량(SDV, Software-Defined Vehicle)’ 시대가 본격적으로 열리고 있습니다.    자동차, 이제 움직이는 AI 플랫폼 CES, MWC와 같은 글로벌 테크 전..

지식 노동자의 종말! 오픈AI '딥 리서치'의 파괴력

안녕하세요, 촌장입니다. 얼마 전 오픈AI가 ‘딥 리서치(Deep Research)라는 새로운 AI 에이전트를 공개했습니다. 이 모델은 기존의 챗봇 수준을 넘어, 광범위한 연구를 수행하고 복잡한 분석을 통해 전문가 수준의 보고서를 작성하는 능력을 갖췄다고 알려져 있는데요. 금융, 과학, 정책 분석 등 여러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도록 설계된 이 AI는 단순한 정보 검색을 뛰어넘어 진정한 연구 파트너로 자리 잡을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AI 성능 평가를 위한 ‘인류의 마지막 시험’에서 딥 리서치는 26.6%의 정확도를 기록했는데요. 최근에 각광받는 딥시크(DeepSeek)-R1의 9.4%, 오픈AI의 o3-mini 모델의 13%보다 훨씬 더 높은 점수입니다. 어떤 전문가는 '지식 노동자의 종말'이 현실..

목표 따위는 쓰레기통에 던져 버려!

안녕하세요, 촌장입니다.2025년 새해가 시작된 지 벌써 한 달이 지났습니다. 설날도 끝났으니 이제 진짜 2025년도에 들어간 셈이죠. 아마도 많은 분들이 새해의 다짐이나 계획들 많이 세우지 않으셨을까 싶은데요. 저도 이런 저런 새해의 목표들 한껏 정리해 두었습니다. '2025년 올해의 목표' 이렇게 큼지막하게 리스트를 정리하고 이번엔 정말로 잘 지켜낼꺼야 다짐을 했었죠. 하지만 한 달여가 지난 지금 우리의 목표는 어디로 갔나요? 작심삼일이라고들 많이 합니다. 왜 우리는 이렇게 의지력이 부족한 걸까요? 남들은 척척 새로운 목표를 잘들 달성하기만 하던데, 왜 나만 이런 걸까요?   예전에 읽었었지만, 지금 시점에 딱 맞는 책을 다시 끄집어냈습니다. 제임스 클리어의 입니다. 다시 읽다 보니 아주 중요한 포..

올리가르히 시대

트럼프 2기의 시작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2기 집권이 공식적으로 시작되었습니다. 북극 한파로 인해서 40년 만에 처음으로 의사당 중앙홀 실내 행사로 진행된 이번 취임식에서 무엇보다 두드러진 부분은 46건의 행정 명령에 서명을 한 내용이었습니다. 파리 기후 협정에서 탈퇴하고 세계보건기구 WHO 에도 탈퇴를 선언했습니다. 다양성 형평성 포용성이라는 세 가지 프로그램 DEI 를 폐지했고, 지난 21년 1월6일 국회의사당 사건의 관련자 1,500여명에게 사면을 단행했습니다. 연방 정부 직원들의 원격 근무를 종료했고, 이민 정책 강화를 위한 여러 강력한 행정 명령을 시작했습니다. 바야흐로 트럼프가 돌아왔습니다. 더욱 강하게. 하지만 무엇보다 눈여겨 볼 부분은 슈퍼리치들이 권력까지 꿰차게 되었다는 사실입니다.  ..

양자컴퓨터 논란

양자컴퓨터는 양자역학의 원리를 사용하여 기존의 반도체의 성능을 획기적으로 올릴 수 있는 혁신적인 기술입니다. 기존의 고전 컴퓨터가 0과 1 중 하나의 상태만 표현할 수 있는 비트를 사용하는 데 반해, 양자컴퓨터는 큐비트(Qubit)를 통해 0과 1의 상태를 동시에 표현하는 중첩(Superposition) 원리를 활용하게 되죠. 또한, 큐비트들 간의 얽힘(Entanglement)을 통해 기존 컴퓨터가 해결하지 못하는 복잡한 문제를 병렬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가능성을 지니고 있기도 합니다. 이러한 특성 덕분에 양자컴퓨터는 암호 해독, 화학 반응 시뮬레이션, 최적화 문제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현존하는 가장 막강한 슈퍼컴퓨터의 능력을 훨씬 능가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고 알려져 있죠. 구글이 개발한 양자컴..